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Fast Algorithm for Corner Detection 출처 : https://docs.opencv.org/master/df/d0c/tutorial_py_fast.html OpenCV: FAST Algorithm for Corner Detection Goal In this chapter, We will understand the basics of FAST algorithm We will find corners using OpenCV functionalities for FAST algorithm. Theory We saw several feature detectors and many of them are really good. But when looking from a real-time applicat docs.opencv.org ※ 본 포스팅은 위의 링크 글.. 더보기 Linearity(선형성) 이란 Q. 선형성이란 무엇인가? 1차원 직선 상의 연산은 선형성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나? A. 아니다. 1차원 직선 상의 연산도 선형성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선형성은 행렬 뿐만 아니라 함수, 연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상세) 선형대수 정리에 따르면, T: Rn−>Rm이 행렬 변환일 필요충분조건은, Rn에 있는 모든 벡터 u와 v에 대해 그리고 모든 스칼라 k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1) T(u + v) = T(u) + T(v) : Superposition(합의 성질) (2) T(ku) = kT(u) : Homogeniety(동치) 위의 식을 종합하면, T(k1u+k2v)=k1T(u)+k2T(v)를 만족하는 것은 선형.. 더보기 Pseudo Inverse(유사 역행렬) 및 SVD(특이값 분해)_v2 Q. Least Square (최소 자승법) 과 Pseudo Inverse(유사 역행렬)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Q. AX=0 의 선형 연립방정식을 풀때는 어떤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Q. Ax=0 식에서 왜 x가 Right Singular Vector라고 할수 있는가? Q. Least Square (최소 자승법) 과 Pseudo Inverse(유사 역행렬)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A. 변환 행렬 A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만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A가 m by n 행렬(m > n)인 경우이다. 사전지식 참고) 더보기 (n by n) 정방행렬 중에는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정방행렬이 아니면 무조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황) 최소 자승법 해 .. 더보기 HTTPS 조사 HTTPS(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Secure) 정의 - HTTPS는 서버에 TLS 인증이 설치된 것을 전제로 한다. 임의로 생성된 공개/개인키가 서버에 저장된다. 공개키는 클라이언트에 전달된다. HTTPS Handshake - 클라이언트(브라우저)는 서버에 연결하며 인증이 유효한 것인지 확인하다. - 핸드 쉐이크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모든 통신은 암호화 된다. 출처) https://love2dev.com/blog/how-https-works/ https://coding-start.tistory.com/208 https://www.wireshark.org/docs/wsug_html_chunked/ChapterIntroduction.html#ChIntroWhatIs 더보기 ARM Q&A Q. Cortex-M과 Cortex-A는 어떻게 다른가요? ARM 제품군은 (회사 이름인 ARM을 이용하여) 아래 3가지로 나눈다. - A(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 모바일, 서버 등 1GHz 이상 고주파 클록 - Linux, Android, Window 등 OS 탑재 - MMU(메모리 관리 장치) - R(실시간 프로세서) - 자동차 파워트레인, 무선 통신 대역 제어 등 실시간 성을 요하는 곳에 쓰인다 - M(마이크로 컨트롤러) - 높은 에너지 효율성. 임베디드 제품 목적에 쓰인다. - MPU(메모리 보호 장치) - 수백 MHz ※ Cortex -A15, A7 까지 v7 아키텍쳐. 그 이후는 v8 아키텍쳐 이다. ※ 올해(21년) 초에 머신 러닝 연산과 보안 기능을 강화하여 v9 아키텍쳐가 출시 되었다... 더보기 git (init , add, commit, reset) 설명 Contents 1) git init , git add, git commit 2) git reset 3) git reset vs git restore ▶ git init , git add, git commit 1) git init 명령을 실행하면 git 저장소가 생겨나고 HEAD는 아직 없는 브랜치를 가리킨다. 포인터가 생성. 2) git add 명령을 하면 Working Directory 내용을 Index로 복사한다(혹은 Statging 한다). 3) git commit 명령을 하면 master가 커밋 객체를 가리키게 한다. 포인터가 드디어 가리킨다. 4) 파일을 수정한 후 다시 git commit 하면(위의 1 ~ 3 절차를 다시 반복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즉, master가 새로운 커밋 객체를 .. 더보기 LSTM Autoencoder 설명 ※ 아래 글은 https://machinelearningmastery.com/lstm-autoencoders/ 해당 링크를 요약한 것입니다. Introduction Encoder-Decoder LSTM Models Early Application of LSTM Autoencoder Code Introduction - LSTM Autoencoder는 Encoder-Decoder LSTM 구조를 사용하는 Sequence 데이터를 위한 Autoencoder로 볼 수 있다(Learn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sequence data, e.g. video, text, audio and time series sequence date) - 학습시에 Encoder 부분은 Sequence 데이.. 더보기 다중 접속 서버 구현 방법 (feat. IPC, Thread) 다중 접속 서버의 구현 방법 1) 멀티프로세스 기반 서버 : 다수의 프로세스 생성하는 방식 프로세스 생성 좀비프로세스 소멸 시그널 함수 등록 멀티프로세스 기반 다중 접속 서버 2) 멀티플렉싱 기반 서버 : 입출력 대상을 묶어서 관리하는 방식 3) 멀티쓰레딩 기반 서버 : 클라이언트 수만큼 쓰레드를 생성하는 방식 동기(Motivation) 방법(Method) Thread-Safe, Thread-Nonsafe Synchronization(mutex, semaphore 멀티 쓰레딩 기반 다중 접속 서버 1) 멀티 프로세스 기반 서버 1-1) 프로세스 생성 - fork 함수 호출하는 순간 자식 프로세스가 복사되어, 각각의 fork 함수 환 값을 받게 된다. (자식 프로세스는 fork 함수가 호출된 위치까지 실행..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6 다음